이런저런 뉴스레터를 받다보면 종종 잘나가는 스타트업의 구인 공고를 볼 경우가 있다. 또는 가끔 로켓펀치같은 IT 특화 사이트에 들어가서 구인공고를 보기도 한다. 

스타트업도 그 나름이듯, 창업 극초기 상대는 진작에 지났고 시리즈A 투자까지 받고 직원도 수십명, 적어도 10명대는 넘는 회사들이다. 

그런데 거의 대부분 잡 포지션은 개발자들 중심이다. 문송하다는 말이 실감난다. 그나마 가뭄에 콩 나듯 박혀 있는 기획, 마케팅, 인사관리 등도 최소 2년 이상의 경력자들만 채용 대상이다. 별다른 사회 경험도 없는 창업자가 세워서 성장하고 있는 기업도 경력만 뽑는다.  

솔직히 이런 식으로 경력자만 우선하는 이런 식의 인력 채용은 매우 치사하고 게으른 행동이라고 생각한다. 일종의 구인 '체리피커'라고 본다. 

바쁘니까 바쁠 뿐이다. 바쁜 흐름에 몸을 내맡기고 흘러가기 때문이다. 아주 익숙한 흐름을 바꿀 생각이 없기에 게으르다. 

 

그마음 모르는 바는 아니다. 하루가 성장하고 있고, 투자자의 기대치도 만족시켜야 하고, 재무제표는 적자였도 지표는 성장해야 하니까. 일은 늘어나고 해결해야 할 문제는 줄지 않고 도전해야 할 일은 또 줄을 서 있다. 

당장 실무에 투입할 '준비된 인재'를 뽑아서 중요하고 급한 과제들을 해결해야 한다. 그러려면 아무것도 모르는 신입보다야 경력을 뽑는 게, 연봉을 더 많이 주더라도 이쪽이 투자 대비 효과가 좋으니 회사 차원에서는 합리적인 선택으로 보인다. 

 

과연 그런가? 당장 목마르다고 바닷물을 벌컥 벌컥 마시는 격은 아닐까? 

 

경력자를 뽑으면 여러모로 편하다. 기본적인 사내 업무 스타일만 익히면 바로 실무에 투입할 수 있다. 긴 OT도 필요없고 사수도 별 필요없다. 우리 조직의 비전, 문화, 업무 규칙, 사내인프라 정도만 익히면 끝이다. 

이런 식으로 경력직만 뽑다보면 나중엔 신입을 뽑는 것 자체가 부담이 되고 낯설게 된다. 아니 그냥 귀찮아진다. 굳이 신입을 뽑을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서로 우리 회사에 오고 싶어서 잘 나가는 기업이라면 더더욱. 

 

하지만, 신입을 뽑아서 한 사람분의 업무를 맡을 수 있을 때까지 키워나가는 것에서 회사도 배운다. 회사의 인재 육성 능력이 키워진다. 신입에게 조직, 업무, 회사 생활 전반을 가르치기 위해서는 무엇을 가르쳐야 할지가 있어야 된다. 

그것을 준비하고 실행하는 과정 자체가 기업에게는 새로운 경험이고 자산이 된다. 당장 아쉽고 급하지만 한 사람을 육성해내서 성과를 내면서 함께 성장하는 것, 그것이 누적되면서 가능성을 품은 우수한 인재를 고르고 키우는 능력이, 회사가 오래도록 존재하고 성장하는 원동력이 된다. 사람은 밥심으로 버티고, 기업은 신입을 키우는 능력이 쌓이면서 성장한다. 

 

신입을 받아봐야 우리에겐 너무나 익숙한 회사 전반의 프로세스와 문화에서 비어 있는 것이 무엇인지 보인다. 

신입을 육성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리더십도 성장한다. 

가르치면서 배운다는 것이 기업에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이 과정을 겪어 보지 못하면 그 조직의 경력자든 그 회사 자체든 성장의 한계에 부딪힌다. 어떤 식으로든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니 신입은 아까운 시간 낭비, 언제 나갈지 모르는 이에게 소모되는 불확실한 투자가 아니라 조직을 제대로 키워나가는 필수적인 토대 중의 하나이다. 

 

 

 

 

 

 

 

 

 

 

 

 

Posted by 티나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