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끊임없이 뛰어난 리더를 찾아내려고 애쓴다. 한 사람이 만명을 먹여살리는 것이 진정한 리더의 모습이라고 생각한다. 그만큼 중요하기 때문에 잠재력을 갖춘 인재를 발굴하거나 영입해서 조직에 활력을 불어넣으려고 애쓴다.
그러나, 그렇게 리더의 중요성을 강조하면 할 수록 조직의 역동성과 자발성은 점점 떨어진다.
한 사람의 카리스마, 재능에 기댄 조직은 아무리 지금 훌륭한 성과를 내더라도 지속성을 장담할 수 없다. 언젠가 그 사람은 그 자리를 떠나게 되고, 누구도 그런 사람을 대체할 수 없기 때문이다.
물론 리더가 중요하기 때문에 능력있는 사람을 간부로, 임원으로, 사장으로 배치하는 것이다. 그렇다고 권한을 리더에게 집중하게 만드는 것은 그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과는 반대 방향으로 조직을 운영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리더는 결정이 아니라 궁극적인 목적과 목표를 설정하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핵심적인 역할이다. 전쟁의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핵심이지 개별 전투에서 어떻게 싸울지 일일이 보고 받고 간섭하고 지시하는 역할이 아니다.
일을 하는 이유를 안다는 것은 그 일의 의미를 알고 목적을 안다는 뜻이다. 따라서, 왜 그 일을 하는지(Why)가 분명하다면, 무엇을(What) 어떻게(How)할 지는 담당자가 스스로 판단해서 진행하면 된다. 리더가 관리할 지점은 목표를 향해 제대로 가고 있는지를 점검하는 것이고, 자신의 경험과 지식으로 지원하는 것이다. 일일이 검토하고 지시하는 것은 리더가 할 일이 아니다.
감도 안 잡히는 신기술 개발을 추진할지 말지 고민하지 말고, 그 기술 개발이 과연 성과가 있을지를 따질 때 실무자가 빠뜨리거나 보지 못한 점이 없는지를 체크해주는 게 리더가 할 역할이다.
우리가 주목할 점은 훌륭한 리더는 더 많은 권한을 가지고 더 많은 결정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좋은 성과를 내는 것이 아니라, 구성원의 능력을 결집해서 하나로 모아내는 방법을 알고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대한민국 축구팀이 월드컵 4강까지 올라가면서 한때 '히딩크 리더십'이 크게 유행했었다. 인맥 학맥이 아니라 실력에 따라 선수를 선발하고 선후배 위계질서를 깨뜨려서 수평적인 소통이 가능하도록 만들었다. 뻥 축구가 아니라 데이터에 기반한 생각있는 축구를 도입했고, 감독의 작전을 수행할 기초체력을 쌓는 것에 충실했다.
선수들이 팀웍을 이루어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조건을 만들어줬고, 현실에 만족하거나 지레 포기하지 않도록 '여전히 배고프다'고 했다.
판을 읽고 흐름을 타고 선수 개개인의 장단점을 파악하고 모두가 같은 목표를 향해 힘을 모을 수 있는 비전을 제시하는 것, 이것이 리더의 할 일임을 히딩크는 모범적으로 보여주었다.
즉, 리더는 감독이지 선수가 아니다. 선수의 플레이가 마음에 안든다고 대신 경기장에 뛰어들 수는 없다. 그런데, 현실에서는 의외로 이런 모습을 보이는 리더가 매우 많다. 그리고, 그것이 리더가 할 일이라고 착각하는 분들도 많은 듯 하다.
'중소기업 경영론 > 경영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복한 회사만들기10- 중소기업의 흔한 문제 (1) | 2014.09.22 |
---|---|
행복한 회사만들기8- 상향식 의사결정구조는 위험하다 (0) | 2014.06.30 |
행복한 회사만들기6- 수직적 체계는 무능을 키운다 (0) | 2014.06.25 |
행복한 회사만들기5- 체계가 잡혀갈수록 복잡도는 증가한다 (1) | 2014.06.23 |
행복한 회사만들기4 - 경영은 열등한 노동? (1) | 2014.06.19 |